테마요리
오늘의 요리
요리 베스트
맛있는 간식요리
나들이 요리
요리와 생활정보
깔끔한 디저트 만들기
맛집 베스트
레시피가 궁금해요
요리 abc
최고 맛집을 찾아라!
추천외식정보
유용한 요리상식
베스트 요리포토


요리 abc

Home > 요리 > 유용한 요리정보 > 요리 abc
요리 abc
생생한 색깔의 과일도...조회 428106  
맥주에 대한 지식조회 419660  
직장맘을 위한 간단한...조회 412244  
전문가에게 배운 수육...조회 397250  
동치미를 무르지 않게...조회 330650  
나선형 초콜릿 만들기조회 300874  
녹차 팥 양갱 만드는법~조회 291407  
꽃게 손질하는 법조회 279430  
숙주 한봉지로 기막힌 요리조회 273303  
맛있는 파인애플 탕수...조회 242644  

이전글 다음글 목록 

식품 라이벌 열전 전복 VS 굴

글쓴이: 진달래  |  날짜: 2008-11-14 조회: 10288
http://board.pcclear.co.kr/cook/view.php?category=QkYRK0I8RQ%3D%3D&num=EhhPcxM%3D&page=111   복사

[식품 라이벌 열전] 전복 vs 굴


식품 라이벌 열전 전복 VS 굴
[중앙일보 박태균] 전복 vs 굴. 국내에서 ‘조개의 왕’ 자리를 놓고 경합을 벌이고 있다.

생산량 면에선 굴이다. 굴은 올 상반기에만 14만5230t이 생산돼 패류 중 1등이다. 귀한 전복은 ‘조개의 황제’라는 ‘고급 브랜드’를 내세운다.

이들은 생김새가 다르다. 전복은 소라·고둥처럼 껍데기가 하나인 권패(卷貝)다.

서양인은 “껍데기가 하나인 전복을 먹으면 사랑에 실패한다”며 기피했다. 반면 굴은 가리비·홍합처럼 껍데기가 둘인 이매패(二枚貝)다.

전복은 쫄깃한 질감(조직감)을 자랑한다. 다시마·미역 등 해조류를 먹고 자라므로 해초 냄새도 느껴진다. 굴은 시원하고 달콤한 뒷맛을 자랑한다. 글리코겐의 맛이다.

영양적으론 전복은 단백질, 굴은 미네랄에서 비교 우위를 보인다. 전복은 단백질 함량이 높을 뿐 아니라(참전복의 경우 100g당 15g), 알라닌·글리신·아르기닌 등 소중한 아미노산이 골고루 들어 있다.

굴엔 아연·칼슘(뼈 건강에 유익)·칼륨(혈압 조절)·철분(빈혈 예방)·구리(철분 흡수 도움) 등 미네랄이 풍부하다.

굴은 산란 전인 겨울부터 초봄까지(11~3월) 가장 맛이 있다. 요즘 먹는 굴은 영양가가 높고 탈도 없다. 서양인은 월명(月名)에 ‘r’자가 붙지 않은 5~8월엔 굴을 먹지 않는다. 상하기 쉽고 그만큼 식중독을 일으킬 위험이 크다.

전복철은 알을 낳기 전인 8~10월이다. 계절에 따른 영양 변화가 적어 연중 어느 시기에 먹어도 괜찮다(부경대 식품생명공학부 조영제 교수).

먹는 방식에서도 차이를 보인다. 전복은 생으로 또는 찌거나 말려서 먹는다. 날 것이 생복, 찐 것이 숙복, 말린 것이 건복이다. 전복을 쪄서 응달에 말리면 모양·색깔의 변화 없이 3~4년은 보관이 가능하다.

굴은 날로 먹는 것이 최선이다. 생굴이 부담스럽다면 튀김·전·무침을 해서 먹어도 좋다. 굴은 수분이 70%에 달하므로 가열·조리 시 주의가 필요하다. 다른 재료가 다 익은 뒤 마지막에 넣어 살짝 익히는 것이 요령이다.

둘은 닮은 점도 많다.

첫째, 강정(强精)식품이다. 전복엔 정액의 주성분인 아르기닌이 들어 있다. 전복을 말리면 아르기닌이 증가한다. 중국에선 전복·해삼·상어 지느러미·생선의 부레를 최고의 강정식품으로 쳤다.

굴에는 ‘섹스 미네랄’로 통하는 아연이 많이 들어 있었다. 아연은 성호르몬의 합성을 돕는다. 시저·나폴레옹·비스마르크·카사노바는 굴을 즐겨 먹은 역사적 인물이다.

둘째, 타우린(아미노산의 일종)이 풍부하다. 타우린이 굴엔 100g당 1g, 전복엔 0.7g가량 들어 있다(전남대 식품공학과 박춘규 교수). 전복을 말리면 오징어처럼 표면에 흰 가루가 생기는데 이것이 타우린이다.

타우린은 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추고 뇌를 발달시키며 심장·간을 보호하는 웰빙 성분. 시력 개선에도 유용하다.

셋째, 대량 양식되고 있다. 굴은 경남 통영 주변과 여수 가막만에서 대부분 생산된다. 전복은 전남 완도가 주산지였으나 최근엔 전남 진도·해남 등으로 옮겨가고 있다.

넷째, 다이어트 식품이다. 100g당 열량이 석굴 64㎉, 참굴 85㎉, 참전복 91㎉로 엇비슷하다.

박태균 기자
이전글 다음글 목록 

총 게시글 3,195
No.제목글쓴이작성일조회
1545뿌리채소 파스타★…행복한 ㉻루12-07-242812
1544스테이크 파스타된장소녀12-07-242757
1543세상에서 가장 바삭한 와플이뽄여우12-07-242750
1542와플 맛있게 즐기기초록나무12-07-242479
1541와플 응용 요리큐트천사12-07-242588
1540팬케이크 맛있게 즐기기이뽄여우12-07-242384
1539팬케이크 응용 요리레이첼12-07-242416
1538쇠고기편육냉채허브12-07-233928
1537돼지고기편육아침12-07-233131
1536말린무갈비찜맑음12-07-233012
1535매운돼지갈비찜개나리12-07-232957
1534아롱사태편채★…㉧Ħ플 ㉺㉧I12-07-232973
1533연저육찜초록나무12-07-232675
1532쇠고기맥주찜12-07-232604
1531동파육클로버12-07-232470

검색

 돼지고기 김치찌게
 달콤한 고구마크로켓
 스트레스풀리는 화끈매운낙지
 길거리 토스트 만들기
 자취생이 좋아하는 저...
 싱글인 여동생을 위해...
 선물용 약식케익
 웰빙 새싹두부샐러드
 바삭바삭 맛있는 고구...
 고마운 밑반찬 어묵볶음.
무료문자
★담배 피우는 사람에게 ...
피부에 좋은 음식
눌러붙은 계란찜 뚝배기 깔끔...
사골 끓이는 법
생생한 색깔의 과일도시락 만들기
맥주에 대한 지식
직장맘을 위한 간단한 반찬 ...
전문가에게 배운 수육 맛있게...
하루동안 열지 않기